bogon ip : 이러한 IP 주소는 인터넷 공간의 주소 할당 기관이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(ISP)에 의해 할당되지 않은,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주소들을 말함.
관리되는 ip가 아니므로 공격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.
프로토콜 : 네트워크 통신할 때 사용하는 표준 규격
OSI 7계층 :
1계층(물리 계층) : 장비와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 bit를 이용한 기계적 처리(hub라는 장비 사용)
{
hub : 데이터의 전송만 가능하고, 데이터의 구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
리피터 : 네트워크 신호 증폭기
}
2계층 (데이터 링크 계층) :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한다.
{
스위치 : 데이터 전송 및 관리기능 제공
브리지 : MAC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간에 트래픽을 전달함
}
3계층 (네트워크 계층) :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계층
라우터 : 데이터 경로 관리 및 전송기능 제공
{ ip : 인터넷 전송 프로토콜
ip 프로토콜을 통해 패킷이 전송된다
icmp : 인터넷 통신 상태 확인 프로토콜
ARP : ip addr과 mac addr 맵핑
}
4계층 (전송 계층) : 정보 분할과 정보 결합하는 과정을 담당
송신측 : 패킷을 분리하여 전송함
수신측 : 분리된 패킷을 병합함
TCP, UDP
{
tcp : ip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담당
udp : tcp보다 빠르지만 신뢰성 없는 통신 담당(ex. 실시간 인터넷 방송)
}
5계층 (세션 계층) : 세션을 열고 닫고 관리하는 계층(TCP/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기능)
동시 송수신 방식(duplex), 반이중 방식(half-duplex), 전이중 방식(full-duplex) 통신을 함
6계층 (표현 계층) : 전송하는 데이터의 포맷 결정(jpg, avi, hwpx)
7계층 (응용 계층) : 사용자 인터페이스(chrome, firefox)
HTTP, DNS 등의 프로토콜 사용
대부분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7계층의 프로토콜이다
캡슐화 : 송신되는 데이터가 계층을 내려가면서 매번 데이터의 앞부분의 헤더를 붙여서 포장한다. 이를 캡슐화라고 하는데, 수신측이 자신의 데이터인지를 보다 낮은 계층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(굳이 자신의 데이터가 아닌데 응용계층까지 올려보내서 판단할 필요가 없기 문이다.)
탈캡슐화 : 수신한 데이터는 계층을 올라가며 헤더를 하나씩 뜯어보며 자신의 주소가 맞는지 확인한다. 이를 탈캡슐화라고 한다. 이 때 주소가 자신의 주소가 아니라면 데이터를 폐기한다.
공적표준(기관에서 지정한 표준) : OSI 규격(교육용으로나 사용하고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음)
사실표준(많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규격) : TCP/IP 규격(실질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규격)
well-known port : IANA(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: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)에서 지정한 포트로서, 0번부터 1023까지의 포트를 말한다.
이 포트를 열기 위해서는 대체로 관리자(root)권한이 필요하다.
'Trinity > 과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기초용어 정리 (0) | 2023.04.20 |
---|